본문 바로가기
Investment/크립토

비트코인 온체인지표 (1) - 펀더맨털

by 까망우동 2024. 7. 21.
반응형

 

 

비트코인, 암호화폐 투자의 가장 큰 특징 중에 하나는 블록체인을 통한 온체인 지표를 활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. 

온체인 지표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 오픈된 여러 가지 종류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네트워크의 상태, 사용자 행동, 거래 패턴 등을 평가하는 지표다. 

온체인지표에 대한 포스팅은 총 3편으로 나누어 정리하고자 한다. 

 

① 펀더맨털 : 비트코인을 네트워크, 화폐, 디지털 금 등의 관점으로 생각했을 때 내재적인 가치를 판단할 수 있는 지표들 

② 시장분위기 : 현재 시장의 과매수/과매도 등의 분위기를 나타내는 지표. 중/장기적인 가치를 판단하기 좋다. 

③ 가격신호 : 단기적인 고점/저점 가격신호에 대한 기술적 분석 지표.

 

첫 번째 포스팅은 비트코인의 내재적인 가치를 판단해 볼 수 있는 지표다. 이름부터 가상화폐인데 내재적 가치 같은 게 어딨냐고 반문할 수도 있겠지만.. 


1. 해시 레이트 (Hashrate)

    • 비트코인을 채굴하기 위해 얼마나 많은 컴퓨팅 파워를 동원해야 하는지에 대한 지표.
    • https://bitinfocharts.com/comparison/bitcoin-hashrate.html#alltime
    • 비트코인 네트워크 해킹을 위해서는 전체 컴퓨팅 파워 51% 이상을 장악해야함 -> 해시레이트가 높아야 네트워크 보안이 강화됨
    • 채굴원가의 바로미터. 채굴자들은 채굴원가 이하로는 팔려고 하지 않음. 해쉬레이트가 올라가면 채굴자도 높은 가격에 비트코인을 팔려고함. 가격이 올라갈 여지가 커짐.
    • 그렇기 때문에 해시 레이트는 어느정도 비트코인의 내재가치라고 있다.
    • 비트코인의 해시레이트는 지속해서 올라가는 추세다. 다만 반감기 직후에 채굴량이 반으로 줄어들며 채굴자들의 수익이 급격히 하락하고.. 영세한 채굴자들이 망하면서 일시적으로 해시레이트가 감소하게 된다. 그러다가 가격이 오르면 시장의 원리에 의해 더 많은 채굴 경쟁이 일어나고 다시 해시레이트는 증가하게 된다. 
    • 가격 vs 해시레이트 : https://newhedge.io/terminal/bit coin/hashrate-vs-price

 

 

2. 평균 채굴비용

  • https://en.macromicro.me/charts/29435/bitcoin-production-total-cost
  • 평균 채굴 비용이란 채굴자들이 비트코인 하나를 생성하기 위해 들어가는 비용을 이야기한다. 
  • 채굴 비용이 오르면 공급이 줄어들고 ( 가격에 팔지 않으니) 가격이 오르는 요인이 된다. 다만 채굴비용대비 가격이 너무 안오르면 영세한 채굴자들은 항복하는 과정에서 물량을 모두 뱉어내버린다.
  • 채굴비용이 비싼데도 채굴하는 이유?
    1. 채굴자의 또하나의 수익 = 거래 수수료 (채굴자 수익 = 채굴 보너스 + 거래 수수료)
    2. 채굴비용에는 고정비용 (장비가격 ) 들어가있음. 고정비용은 이미 돈이니, 실질 채굴비용보다만 높은 가격이면 계속 채굴한다.
    3. 뭐든, 일시적 손해가 난다고 사업을 그만하지는 않는다.

3. 사용규모 

  • 비트코인은 상품 중에서도 화폐재의 속성을 갖기 때문에,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인정하느냐가 가치가 된다(=네트워크 = 사회적 합의치). 주식은 현금흐름이 가치라면..
  • 3COM 창립자 메칼프에 따르면 네트워크의 가치는 사용자 수의 제곱에 비례한다.
  • 비트코인의 사회적 합의치는 어떻게 추정할까?

3-1. 활성 지갑수 (Number of Active Addresses) 

3-2. 활성 트랜잭션 (Number of Transactions) 

 

3-3. 장기 보유자 (HODL Wave) 

    • 비트코인을 좋아하고 가치있는 사람의 수라고 있음
    • 1 이상 보유자는 중기투자자.. 5 이상 보유한 사람들이 장기투자자 (반감기 4년보다 크니) 라고 있음.
    • https://www.lookintobitcoin.com/charts/5-year-hodl-wave/

반응형

댓글